노인 복지는 어떤 사람들 대상으로 하는지 또한 몇 세 이상이 돼야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서 살펴보겠습니다. 노인 복지의 대상이 되는 노인은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이 되는 사람을 말합니다. 노인 복지 대상이 되는 노인은 일정한 자격을 갖추면 아래와 같은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니 꼼꼼히 살펴보시고 혜택 받아보시길 바랍니다.
노인 복지 지원
노인 복지 지원은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, 그들의 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길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말합니다. 한국에서는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복지 지원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복지 지원 주요 내용 및 연령
구분 | 지원 대상 | 주요 내용 | 연령 기준 | 자격 기준 |
일상생활 복지 | 노인맞춤돌봄서비스 | 일상생활 지원, 사회활동 지원 등 | 65세 이상 |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기초연금 수급자 등 |
재가노인복지서비스 | 방문요양, 방문간호, 방문목욕 등 | 65세 이상 (일부 60세 이상) |
장기요양급여 수급자 심신이 허약하거나 장애가 있는 노인 |
|
노인여가복지시설 | 경로당, 노인복지관 이용 등 | 60세 이상 (경로당 65세 이상) |
시설별 자격 기준 상이 | |
노인자원봉사활동 | 지역사회 봉사활동 참여 | 60세 이상 | 20명 이상 단체 신청 (개인 불가) | |
교통 등 요금할인 | 지하철, 버스, 이동통신, 에너지 요금 할인 등 | 다양 | 자격 기준 상이 (지하철 등은 자격 기준 없음) | |
경제적 복지 | 노인장기요양보험 | 요양 서비스 제공 | 65세 이상 | 장기요양 등급 판정자 |
기초연금 | 매월 일정 금액 지급 | 65세 이상 | 소득인정액 이하 | |
국민연금 | 노후 소득 보장 | 65세 이상 | 자격 기준 상이 (노후준비지원서비스, 실버론 등) |
|
일자리 지원 | 공익활동, 사회서비스, 시장형 사업단 등 | 60세 이상 (일부 65세 이상) |
자격 기준 상이 | |
세제 혜택 | 종합소득세, 상속세, 양도소득세 등 공제 및 비과세 |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 | 자격 기준 상이 | |
건강 복지 | 노인의료복지시설 | 입소하여 의료 서비스 제공 | 65세 이상 (일부 60세 이상) |
장기요양급여 수급자, 기초생활수급자 등 |
노인성 질환 의료비 지원 | 건강검진, 치료비 지원 등 |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 | 질환별 자격 기준 상이 | |
어르신 체육활동 지원 | 체육 프로그램 참여 | 60세 이상 | 자격 기준 없음 | |
주거 복지 | 노인주거복지시설 | 노인 전용 주거 시설 제공 | 65세 이상 (일부 60세 이상) |
기초생활수급자, 부양의무자 부재 등 |
주택 특별공급 | 주택 구입 시 우대 | 65세 이상 | 직계존속 부양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 |
노인여가복지 지원 < 노인지원 < 노인 < 정책 :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
모든 국민의 건강,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.
www.mohw.go.kr
마무리
노인 복지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의료비, 주거, 건강, 금전 지원까지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고 있으니 이런 지원을 통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. 각 지역의 복지센터나 관련 기관을 통해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확인하시면 정확한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
치매 어머니 돌봄 재정적 부담 줄이는 방법 찾기
치매증상으로 많은 재정적 부담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. 다행히도 이러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 치매 노인을 돌보는 시설에 모시려는데 지원을 받는 방법에 대
snkstory.tistory.com
치매 치료비 지원 대상 한도액 신청방법 알아보기
치매 환자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. 여러 연구와 통계에 따르면 치매는 노인 인구에서 흔한 질병으로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이
snkstory.tistory.com
'지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옥외 광고물 설치 규정 알아보기 (0) | 2024.08.27 |
---|---|
2024 경기도 청년 복지 포인트 1년간 120만원 지급 (0) | 2024.08.23 |
치매 어머니 돌봄 재정적 부담 줄이는 방법 찾기 (0) | 2024.08.21 |
치매 치료비 지원 대상 한도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8.21 |
에너지 바우처 대상 신청 금액 사용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8.20 |
댓글